본문 바로가기

인스턴스2

[AWS] Elastic IP (탄력적인 IP) 적용 ✔ 작업환경 AWS, EC2 ✔ 목표 엘라스틱IP를 활용하여 생성한 인스턴스에 정적IP를 부여 ✔ Start! 인스턴스 생성시 퍼블릭 IP자동할당을 활성화로 생성했다면 기본적으로 IPv4의 퍼블릭 IP가 함께 생성되었을 것이다. 다만 이렇게 생성된 퍼블릭IP는 동적 IP로서 인스턴스를 재가동 할때마다 IP는 유동적으로 변하게 된다. 인스턴스 재부팅 후에도 변하지 않는 고정 IP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Elastic IP가 필요하다. 위와같이 IPv4퍼블릭IP가 검정 글씨이고 링크가 걸려있지 않은 경우는 현재 Elastic IP를 사용중이 아니라는 뜻이다.(인스턴스를 재부팅하면 IP가 변경된다.)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IP 메뉴에서 탄력적 IP 주소 할당을 눌러 엘라스틱IP를 발행한다. 발행한 IP를 선.. 2020. 6. 26.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4. EC2 인스턴스 생성(Windows Server 2019) ✔ 작업환경 AWS, EC2, Windows2019 ✔ 목표 구축한 VPC위에 나만의 윈도우 서버를 생성 ✔ Start! 서비스 - 컴퓨팅 - EC2 - 인스턴스 메뉴에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 새 인스턴스를 작성해주자. -1️⃣ Amazon Machine Image(AMI) 선택 AMI란? : AMI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구성(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템플릿이다. 서버 생성을 위해서는 OS 및 기본 애플리케이션 등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AMI는 크게 [빠른시작] , [나의 AMI] , [AWS Marketplace] , [커뮤니티 AMI] 3곳에서 선택할 수 있다. ✅ 빠른시작 : AWS에서 제공하는 기본 AMI라고 볼 수 있다. 프리티어인 경우 .. 2020.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