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pc3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3. 라우팅테이블과 인터넷게이트웨이 ✔ 작업환경 AWS ✔ 목표 라우팅 테이블생성과 Public서브넷에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 Start! 라우팅 테이블은 사실 VPC 생성시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를 디폴트 라우팅 테이블이라 하며 VPC의 CIDR을 기본으로 라우팅적용하여 생성된다. 그래서 이게 무슨말인가? 라우팅 테이블이란??? 쉽게 표현하자면 라우팅 테이블이랑 VPC에 리퀘스트가 발생했을때 리스폰스를 위한 이정표라고 볼 수 있다. VPC내외부의 요청은 모두 라우터로 모이게 되며 각 라우팅 테이블에서 지정한 경로로 요청은 흘러가게 되어있다. 라우팅 테이블은 사실 VPC 생성시 자동으로 생성된다. → 그럼 자동 생성된 라우팅 테이블은 어디에? VPC하위 메뉴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 메뉴에서도 디폴트 라우팅테이블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나.. 2020. 6. 22.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2. 서브넷 생성 ✔ 작업환경 AWS ✔ 목표 AWS에 새로운 EC2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축 1단계에서 만든 VPC에 서브넷을 생성 하기! ✔ Start! 우선 왼쪽 VPC메뉴에서 서브넷을 클릭 -> 서브넷 생성버튼을 통해 서브넷을 만들자. 총 4개의 서브넷을 생성할 예정이다. ✅ 이름 태그 : 복수의 서브넷을 생성 가능하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네임태그를 지정해준다. ✅ VPC : 서브넷을 연결 할 VPC를 선택해준다. VPC생성에서 만들어준 VPC를 선택해주자. ✅ 가용 영역 : 서브넷을 설치할 가용영역을 선택해준다. ❕ AWS에는 각 리전(도시)별로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보유한다. 가용영역이란 실제 물리적 네트워크 환경을 의믜하며 보통 우리는 이를 데이터센터라고도 부른다. 가용영역은 실제 시스템 운영에 있어 .. 2020. 6. 17.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1. VPC생성 ✔ 작업환경 AWS ✔ 목표 AWS에 새로운 EC2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축 1단계 VPC 만들어보자! ✔ Start! AWS 클라우드 환경에 EC2인스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VPC환경을 구축해주어야한다. ❕ 사실 처음 AWS의 계정을 생성하면 기본 네트환경이 구축되어있다. 다만 이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AWS의 가상 네트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네트환경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을 추천한다. ✅ VPC(Virtual Private Cloud) : 말그대로 사용자의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지칭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비유를 하자면 한 회사가 있고 회사안에 전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했다고 하자. 그럼 이를 AWS에서는 VPC라고 한다. 클라우드가 아닌 물리적 네트워크.. 2020.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