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AWS5 [AWS] Elastic IP (탄력적인 IP) 적용 ✔ 작업환경 AWS, EC2 ✔ 목표 엘라스틱IP를 활용하여 생성한 인스턴스에 정적IP를 부여 ✔ Start! 인스턴스 생성시 퍼블릭 IP자동할당을 활성화로 생성했다면 기본적으로 IPv4의 퍼블릭 IP가 함께 생성되었을 것이다. 다만 이렇게 생성된 퍼블릭IP는 동적 IP로서 인스턴스를 재가동 할때마다 IP는 유동적으로 변하게 된다. 인스턴스 재부팅 후에도 변하지 않는 고정 IP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Elastic IP가 필요하다. 위와같이 IPv4퍼블릭IP가 검정 글씨이고 링크가 걸려있지 않은 경우는 현재 Elastic IP를 사용중이 아니라는 뜻이다.(인스턴스를 재부팅하면 IP가 변경된다.)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IP 메뉴에서 탄력적 IP 주소 할당을 눌러 엘라스틱IP를 발행한다. 발행한 IP를 선.. 2020. 6. 26.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4. EC2 인스턴스 생성(Windows Server 2019) ✔ 작업환경 AWS, EC2, Windows2019 ✔ 목표 구축한 VPC위에 나만의 윈도우 서버를 생성 ✔ Start! 서비스 - 컴퓨팅 - EC2 - 인스턴스 메뉴에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 새 인스턴스를 작성해주자. -1️⃣ Amazon Machine Image(AMI) 선택 AMI란? : AMI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구성(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템플릿이다. 서버 생성을 위해서는 OS 및 기본 애플리케이션 등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AMI는 크게 [빠른시작] , [나의 AMI] , [AWS Marketplace] , [커뮤니티 AMI] 3곳에서 선택할 수 있다. ✅ 빠른시작 : AWS에서 제공하는 기본 AMI라고 볼 수 있다. 프리티어인 경우 .. 2020. 6. 23.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3. 라우팅테이블과 인터넷게이트웨이 ✔ 작업환경 AWS ✔ 목표 라우팅 테이블생성과 Public서브넷에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 Start! 라우팅 테이블은 사실 VPC 생성시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를 디폴트 라우팅 테이블이라 하며 VPC의 CIDR을 기본으로 라우팅적용하여 생성된다. 그래서 이게 무슨말인가? 라우팅 테이블이란??? 쉽게 표현하자면 라우팅 테이블이랑 VPC에 리퀘스트가 발생했을때 리스폰스를 위한 이정표라고 볼 수 있다. VPC내외부의 요청은 모두 라우터로 모이게 되며 각 라우팅 테이블에서 지정한 경로로 요청은 흘러가게 되어있다. 라우팅 테이블은 사실 VPC 생성시 자동으로 생성된다. → 그럼 자동 생성된 라우팅 테이블은 어디에? VPC하위 메뉴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 메뉴에서도 디폴트 라우팅테이블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나.. 2020. 6. 22.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2. 서브넷 생성 ✔ 작업환경 AWS ✔ 목표 AWS에 새로운 EC2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축 1단계에서 만든 VPC에 서브넷을 생성 하기! ✔ Start! 우선 왼쪽 VPC메뉴에서 서브넷을 클릭 -> 서브넷 생성버튼을 통해 서브넷을 만들자. 총 4개의 서브넷을 생성할 예정이다. ✅ 이름 태그 : 복수의 서브넷을 생성 가능하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네임태그를 지정해준다. ✅ VPC : 서브넷을 연결 할 VPC를 선택해준다. VPC생성에서 만들어준 VPC를 선택해주자. ✅ 가용 영역 : 서브넷을 설치할 가용영역을 선택해준다. ❕ AWS에는 각 리전(도시)별로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보유한다. 가용영역이란 실제 물리적 네트워크 환경을 의믜하며 보통 우리는 이를 데이터센터라고도 부른다. 가용영역은 실제 시스템 운영에 있어 .. 2020. 6. 17.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1. VPC생성 ✔ 작업환경 AWS ✔ 목표 AWS에 새로운 EC2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축 1단계 VPC 만들어보자! ✔ Start! AWS 클라우드 환경에 EC2인스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VPC환경을 구축해주어야한다. ❕ 사실 처음 AWS의 계정을 생성하면 기본 네트환경이 구축되어있다. 다만 이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AWS의 가상 네트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네트환경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을 추천한다. ✅ VPC(Virtual Private Cloud) : 말그대로 사용자의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지칭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비유를 하자면 한 회사가 있고 회사안에 전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했다고 하자. 그럼 이를 AWS에서는 VPC라고 한다. 클라우드가 아닌 물리적 네트워크.. 2020. 6.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