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ubnet3

[AWS] 서브넷(Subnet) 💠 서브넷 (Subnet) 관련 노트 ✔ 각 서브넷은 단일 가용성 영역에 매핑됩니다. ✔ 사용자가 만드는 모든 서브넷은 VPC의 기본 경로 테이블과(기본 라우팅 테이블)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 서브넷의 트래픽이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라우팅되는 경우 서브넷을 공용(Public)서브넷이라고합니다. 💠 서브넷 (Subnet) 관련 문제 2020. 6. 30.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2. 서브넷 생성 ✔ 작업환경 AWS ✔ 목표 AWS에 새로운 EC2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축 1단계에서 만든 VPC에 서브넷을 생성 하기! ✔ Start! 우선 왼쪽 VPC메뉴에서 서브넷을 클릭 -> 서브넷 생성버튼을 통해 서브넷을 만들자. 총 4개의 서브넷을 생성할 예정이다. ✅ 이름 태그 : 복수의 서브넷을 생성 가능하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네임태그를 지정해준다. ✅ VPC : 서브넷을 연결 할 VPC를 선택해준다. VPC생성에서 만들어준 VPC를 선택해주자. ✅ 가용 영역 : 서브넷을 설치할 가용영역을 선택해준다. ❕ AWS에는 각 리전(도시)별로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보유한다. 가용영역이란 실제 물리적 네트워크 환경을 의믜하며 보통 우리는 이를 데이터센터라고도 부른다. 가용영역은 실제 시스템 운영에 있어 .. 2020. 6. 17.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1. VPC생성 ✔ 작업환경 AWS ✔ 목표 AWS에 새로운 EC2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축 1단계 VPC 만들어보자! ✔ Start! AWS 클라우드 환경에 EC2인스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VPC환경을 구축해주어야한다. ❕ 사실 처음 AWS의 계정을 생성하면 기본 네트환경이 구축되어있다. 다만 이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AWS의 가상 네트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네트환경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을 추천한다. ✅ VPC(Virtual Private Cloud) : 말그대로 사용자의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지칭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비유를 하자면 한 회사가 있고 회사안에 전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했다고 하자. 그럼 이를 AWS에서는 VPC라고 한다. 클라우드가 아닌 물리적 네트워크.. 2020.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