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AWS

AWS 서버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1. VPC생성

by Goodea 2020. 6. 15.

✔ 작업환경

 AWS

 

✔ 목표

 AWS에 새로운 EC2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축

 1단계 VPC 만들어보자!

 

✔ Start!

 AWS 클라우드 환경에 EC2인스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VPC환경을 구축해주어야한다.
  ❕ 사실 처음 AWS의 계정을 생성하면 기본 네트환경이 구축되어있다. 다만 이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AWS의 가상 네트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네트환경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을 추천한다.

 

  ✅ VPC(Virtual Private Cloud) : 말그대로 사용자의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지칭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비유를 하자면 한 회사가 있고 회사안에 전산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했다고 하자. 그럼 이를 AWS에서는 VPC라고 한다. 클라우드가 아닌 물리적 네트워크로 구축되어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On-premise환경이라고 한다.

 

우선 로그인!

로그인 후 왼상단에 서비스를 눌러 네트워킹 및 콘텐츠 전송 - VPC페이지로 이동

VPC 서비스

VPC생성을 눌러 새 VPC를 생성해주자.

 

 

 

VPC생성

  ✅ 이름 태그 : 계정에 다수의 VPC를 운영할 수 있기때문에 구분을 위한 VPC이름을 지정한다.

  ✅ IPv4 CIDR 블록* :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구축하는 네트워크에(VPC)에 활당 가능한 IP의 대역을 지정 해 주어야 한다.

  아이피 대역을 사이더를 통해 지정할 수 있는데 사실 사이더 계산법을 외우고 직접 계산하기보다는 사이더 계산사이트를 이용하는게 보통이다. 또 보통 자주 사용하는 대역대가 있기 때문에 이를 기억하고 사용한다.

 

사이더 계산 사이트

 

  VPC를 생성 후 퍼블릭 서브넷 2개, 프라이빗 서브넷 2개 총 4개의 서브넷을 구축할 예정이다. 그러기 위해서 총 4개의 IP대역을 필요로하고 이에 맞추어 사이더 블록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우선 흔하게들 자주 사용하는 192.168.0.0 아이피 대역을 사용하기로 하자.

한개의 서브넷에는 총 256개의 아이피를 할당 할 것이며 서브넷 내의 아이피는 모두 동일한 세그먼트를 보유한다라는 조건으로 구성할 것이다. 

 

Public_Subnet01 : 192.168.64.0 ~ 192.168.64.255 (총 256개의 IP)

Public_Subnet02 : 192.168.65.0 ~ 192.168.65.255 (총 256개의 IP)

Private_Subnet01 : 192.168.66.0 ~ 192.168.66.255 (총 256개의 IP)

Private_Subnet02 : 192.168.67.0 ~ 192.168.67.255 (총 256개의 IP)

 

위와 같이 서브넷을 구성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192.168.64.0 ~ 192.168.67.255(총1,024개의 IP)의 IP블록이 필요하다.

이를 사이더 계산사이트를 통해 계산해보면 

 

CIDR

 

위와같이 192.168.64.0/22의 사이더 값을 받을 수 있다. 

  

  ❗ VPC생성시 지정한 사이더 블록은 추후 변경할 수 없다. 보다 큰 네트워크 환경 구축이 필요한 경우 위 값보다 큰 값으로 사이더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예) 192.168.64.0/18 → 192.168.64.0 ~ 192.168.127.255 (총 16,384개의 IP)

 

  ✅ IPv6 CIDR 블록 : IPv4로 전세계의 모든 넷트워크 사물에 IP를 할당하기엔 IP의 수가 너무 부족하게 되었다.  이를 위한 버전 6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지를 선택한다. 일단 IPv6는 필요 없기 때문에 [IPv6 CIDR 블록 없음] 을 선택

 

  ✅ 테넌시 : 단일 고객 전용 하드웨어에 VPC를 설정할 것인가? NO! [기본값]으로 진행

 

 

 

생성버튼을 눌러 VPC를 생성한다.

 

 

새로운 VPC환경이 생성되었다!

 

VPC

현재까지의 구성도

댓글